우리나라에서는 대(大)를 위해 소(小) 가 희생해야 한다는 생각이 널리 퍼져 있다. 가족을 위해 내가 포기해야 하고, 나라를 위해 개인이 양보하는 것을 미덕으로 여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학교에도 영향을 미친다. 학교 분위기를 위해 튀는 행동은 삼가고, 수업 흐름을 위해 질문은 삼간다. 아이들마다 공부에 대한 열의,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정도가 다르지만, 모두 같은 속도와 방법으로 수업을 받고 평가 받는다. 여기에서 벗어나는 아이는 전체를 위해 희생될 수밖에 없다. (p127)이 책은 틱에 관한 보고서이다. 내 아이가 틱에 거려 있는 상태라면, 예민해지고 고쳐 나가려고 한다. 일상적으로 나타나는 틱은 대부분 근육틱이며, 심리적 상담을 통해 나아질 거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문제는 아이의 틱 현상..